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기기 즉 각 컴퓨터에는 숫자로 이루어진 고유 주소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집집마다 집 주소가 존재하는 것처럼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도 할당됩니다. 이를 ip 주소라고 부르며, IPv4 형태로 12자리 숫자 (예: 123.456.xxx.xxx) 총 4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내 아이피 주소 확인 방법과 고정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생각하면 외부 내부 개념이 있고 각각의 역할이 다릅니다. 인터넷과 연결될 때는 외부 ip 값이 중요하며 회사 안에서 폴더나 프린터 공유를 할 때는 내부 ip를 고정 설정하는 부분이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두 가지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아이피 주소 확인방법 첫번째
아이피는 앞서 말했듯이 내가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 상의 주소를 말한다고 보시면 되요.
보통 가정집에서는 각종 통신사를 통해서 신청해서 설치된 공유기나 셋톱박스를 통해서 집 내부에 연결되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그럼 내 ip주소 확인은 어떻게 할까요?
방법은 아주 쉬워요. 네이버 초록 검색창에 또는 다음검색창에 "내 아이피 주소" 라고 검색하시면 현재 내가 사용중인 ip가 검색창 결과에 뜨게 됩니다.
모바일에서도 확인은 가능하지만 와이파이가 아닌 데이터로 연결했다면 접속시마다 고정아이피가 아니기 때문에 아이피주소가 바뀌게 될거에요.
아이피 주소 확인방법 두번째
프롬프트 활용

첫번째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시작 버튼을 눌러주시면 바로옆에 검색 창이 있는데요 이곳에 CMD 를 입력해주시면 상단에 "명령 프롬프트"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클릭하여 실행시켜주세요!

프롬프트가 실행되었다면 검은 화면창이 생성되며 입력창 하나가 나오는데요 바로 여기에
IPCONFIG 를 그대로 입력해주시면 내컴퓨터의 IPv4, 서브넷 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값이 생성이 됩니다.
여기서 확인해 보셔야 할것은 IPv4 주소 입니다.
네트워크 설정에서 확인

두번째 방법은 프롬프트가 아닌 일반 설정환경에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 화면 우측하단의 도구 탭에서 인터넷(와이파이/인터넷) 아이콘 마우스 우클릭 하신후에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 를 클릭하여 실행시켜주세요!

그럼 네트워크 상태창이 생성되며 기본정보와 설정 환경이 생성되는데요 여기서
"속성" 버튼을 클릭하셔서 실행시켜주세요!

속성이 실행되었다면 네트워크 관련된 정보가 생성이 되는데요 드래그하여 하단으로 내려주시면 SSID 및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